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 오월 정신을 함께 잇다

Modified for 각종 실시간 이슈 - faither.me

45년 전 광주의 뜨거웠던 오월, 그 날의 함성과 희생이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민주주의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2025년 5월 18일,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는 그 역사적인 순간을 기리는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엄숙하게 거행되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 함께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현장의 생생한 모습과 의미를 전해드립니다.

많은 사람들이 모인 가운데 국립 5·18 민주묘지 앞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현장, 중앙에는 태극기와 추모탑이 보이고 'LIVE' 및 'MBC NEWS'라는 문구가 있음.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이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엄숙하게 진행되고 있는 모습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열린 45주년 기념식 현장

오늘 오전 10시,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는 민주화의 역사를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모인 2,500여 명의 참석자들로 가득 찼습니다. 민주유공자와 유족들, 정부 주요 인사들, 그리고 미래 세대를 대표하는 학생들까지 함께한 이번 기념식은 오월 정신의 현재적 의미를 되새기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기념식은 국민의례를 시작으로 경과보고, 여는 공연, 기념사, 기념 영상 상영, 대합창, 그리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으로 약 45분간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45주년을 맞아 ‘함께, 오월을 잇다’라는 주제로 세대를 넘어 민주화 정신을 계승하는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포스터로, 책 표지에는 '함께, 오월을 쓰다'라는 문구가 세로로 적혀 있다. 배경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인 국립5·18민주묘지의 모습과 함께 '1980.05.18.' 날짜가 메모지에 적혀 있다.
제45주년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 공식 포스터 ‘함께, 오월을 쓰다’

기념식에서는 특히 5·18 당시 계엄군에 맞서 싸웠던 생존자들의 증언과 함께, 젊은 세대들이 준비한 특별 공연이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렸습니다. 45년이라는 세월이 흘렀지만, 민주주의를 향한 광주 시민들의 열망과 희생은 오늘날까지 생생하게 살아 숨쉬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실시간 중계와 SNS에서 확산되는 오월 정신

이번 기념식은 MBC를 비롯한 주요 방송사와 유튜브 등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되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대면 행사가 활발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참여 열기는 더욱 뜨거워져 전국 각지에서 많은 이들이 화면을 통해 기념식에 함께했습니다.

실시간 시청자와 해시태그 트렌드

MBC 유튜브 생중계 채널에서는 동시 시청자 수가 2만 명을 넘어서며 뜨거운 관심을 증명했습니다. 트위터와 인스타그램 등 SNS에서는 #518, #오월정신, #광주민주화운동 등의 해시태그가 트렌드 상위권에 오르며, 기념식 현장의 모습과 소회가 실시간으로 공유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전년 대비 관련 해시태그 언급량이 70% 이상 증가해 젊은 세대들 사이에서도 5·18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음을 보여줬습니다. Z세대와 알파세대로 불리는 10대, 20대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오월 정신을 해석하고 공유하는 현상이 두드러졌습니다.

정치권과 시민사회의 공식 논평

정치권에서도 여야를 막론하고 5·18 민주화운동의 의미를 되새기는 메시지가 이어졌습니다. 대통령은 기념사를 통해 “5·18 정신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자랑스러운 역사이자 미래”라고 강조했으며, 여야 정당 대표들도 일제히 민주화운동의 가치를 기리는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시민사회에서도 다양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올해는 5·18 진상규명과 관련한 새로운 자료들이 공개되면서 아직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은 역사적 진실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여러 시민단체들은 기념식 이후에도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약속했습니다.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탑과 조각상이 보이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생중계'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5·18 민주화운동 기념탑과 함께 표시된 생중계 화면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적 의미와 오늘의 가치

1980년 5월, 광주에서 시작된 민주화운동은 군사독재에 맞선 시민들의 용기 있는 저항이었습니다. 당시 계엄군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많은 시민들이 희생되었지만, 그들의 피와 눈물로 지켜낸 민주주의의 씨앗은 오늘날 우리 사회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45주년을 맞은 오늘, 5·18은 단순한 지역의 역사가 아닌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상징이자 국민 통합의 소중한 자산으로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특히 진실과 화해, 그리고 미래 세대와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 오월 정신의 현재적 의미가 강조되고 있습니다.

광주 민주묘지와 추모의 현장

기념식이 끝난 후에도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추모객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유족들과 시민들은 하얀 국화를 들고 묘역을 찾아 희생자들을 기렸으며, 추모곡과 다짐의 목소리가 묘지 곳곳에서 울려 퍼졌습니다.

정장 차림의 남성들이 흰 장갑을 끼고 하얀 국화를 헌화하는 추모 행사 모습
5·18 희생자들을 기리며 헌화하는 추모객들의 모습

올해는 특히 5·18 사적지를 찾는 방문객들이 크게 늘었습니다. 옛 전남도청, 금남로, 광주 YMCA 등 역사의 현장을 직접 찾아 당시의 상황을 체험하고 기억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했습니다. 많은 학교에서도 단체로 견학을 오는 모습이 눈에 띄었습니다.

계승되는 오월 정신, 미래 세대와의 연결

이번 기념식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미래세대와의 연결을 강조했다는 것입니다. 경과보고와 공연, 대합창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청소년과 대학생들이 적극 참여했으며, 5·18 교육과 관련된 새로운 프로그램도 소개되었습니다.

특히 올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5·18을 기리는 행사가 열려 눈길을 끌었습니다. 캐나다 밴쿠버에서는 현지 교민들이 중심이 되어 5·18 기념식을 개최했으며, 미국, 일본,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도 한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추모 행사가 이어졌습니다.

제45주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캐나다 밴쿠버 기념식 홍보 포스터로, 행사 일시와 장소(2025년 5월 18일 오전 11시, 버나비 센트럴파크 평화의 사도비), 주최 및 주관 단체 정보가 안내되어 있다. 배경에는 많은 인파가 모인 흑백 사진이 삽입되어 있다.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45주년 기념식 포스터

45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은 여전히 우리 사회 곳곳에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오월의 진실을 기억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는 일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앞으로도 5·18 민주화운동이 단순한 역사적 사건이 아닌, 현재와 미래를 비추는 등불로 자리매김하길 바랍니다.

오늘 광주에서 울려 퍼진 ‘임을 위한 행진곡’의 선율처럼, 민주주의를 향한 우리의 행진은 계속될 것입니다. 함께, 오월을 기억하고 함께, 오월을 이어갑시다.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